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진수2

[컴퓨터 개론] 3장-02 데이터의 표현: 데이터 인코딩(문자, 이미지, 사운드) 컴퓨터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기 위해 인코딩(Encoding) 방식을 사용합니다.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등의 데이터를 이진수로 변환해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디지털화하고 저장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문자, 이미지, 사운드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문자 인코딩1) 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ASCII는 7비트 또는 8비트로 영어 알파벳과 숫자, 특수 문자를 인코딩하는 방식입니다.주로 128개의 문자(7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가 영어 문자와 기호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ASCII는 초기 컴퓨터 시스템에서.. 2024. 10. 29.
[컴퓨터 개론] 3장-01 데이터의 표현: 이진수와 논리 연산 컴퓨터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이진수(Binary)와 논리 연산을 사용합니다.이진수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 표현 방식이며, 논리 연산은 데이터 처리와 제어의 핵심 연산 방식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진수와 논리 연산의 개념과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이진수 (Binary Number)1) 이진수의 개념이진수는 0과 1 두개의 숫자로만 구성된 수 체계입니다.2진법으로 표현되는 이진수는 전기적 신호의 켜짐(1)과 꺼짐(0) 상태를 나타내어 컴퓨터 내부에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십진수 5는 이진수로 101로 표현되며, 이는 1 X 22 + 0 X 21 + 1 X 20 으로 계산됩니다.2) 십진수와 이진수의 변환십진수를 이진수로 변환하는 과정은 간단합니다... 2024. 10. 28.
반응형